2025 건설근로자 퇴직공제금 전화번호·신청방법 총정리
📞 건설근로자 퇴직공제금 전화번호 한눈에 정리! (2025 최신판)
건설업 종사자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제도가 바로 건설근로자 퇴직공제금 제도입니다.
퇴직 시 받을 수 있는 중요한 금액이지만, 막상 “어디로 전화해야 하나요?”라는 질문이 많습니다.
이번 글에서는 건설근로자공제회 고객센터 전화번호, 상담 시간, 지역별 연락처, 모바일 앱 이용 방법 등을 상세히 정리했습니다.
특히 실제 전화 연결 경험자 후기와 빠르게 상담받는 팁도 함께 소개합니다.
▼ 먼저 읽어볼 글 ▼
🏗️ 건설근로자 퇴직공제금이란?
건설근로자 퇴직공제금은 건설현장에서 일하는 근로자가 일한 만큼 퇴직금을 받을 수 있도록 국가가 관리하는 제도입니다.
일반 회사처럼 한 곳에서 오래 근무하기 어렵기 때문에, 현장별로 퇴직금을 공제회가 누적 관리해줍니다.
구분 | 내용 |
---|---|
제도명 | 건설근로자 퇴직공제 제도 |
운영기관 | 건설근로자공제회 (www.cwma.or.kr) |
설립근거 | 「건설근로자의 고용개선 등에 관한 법률」 제15조 |
주요 기능 | 퇴직공제금 관리, 적립내역 확인, 퇴직금 신청 및 지급 |
대상자 | 건설현장 종사 근로자 (일용직 포함) |
이 제도의 핵심은 퇴직금을 개인이 직접 관리하지 않아도, 자동으로 적립된다는 점입니다.
단, 근로자가 본인 인증 후 지급 신청을 해야 실제로 수령할 수 있습니다.
☎️ 건설근로자 퇴직공제금 대표 전화번호
가장 빠르고 정확한 방법은 **공식 고객센터(대표번호)**로 전화하는 것입니다.
건설근로자공제회에서는 상담 항목별로 전담 센터가 운영되고 있습니다.
구분 | 전화번호 | 주요 상담내용 | 상담 가능시간 |
---|---|---|---|
고객센터 대표번호 | 1666-1122 | 퇴직공제금 조회, 신청, 지급 문의 | 평일 09:00~18:00 |
팩스번호 | 02-519-4820 | 서류 제출용 | 상시 수신 |
홈페이지 | www.cwma.or.kr | 온라인 신청 및 조회 | 24시간 이용 가능 |
💡 TIP: 대표번호 연결 후 ‘1번’ → 퇴직공제금 문의 메뉴를 선택하면 상담 연결이 빠릅니다.
🗓️ 상담 시간 및 점심시간 주의사항
-
평일 운영: 오전 9시 ~ 오후 6시
-
점심시간: 12시 ~ 13시 (이 시간엔 상담 연결이 어렵습니다)
-
주말 및 공휴일: 휴무
🔔 가장 연결 잘 되는 시간대:오전 9시~10시 사이, 오후 4시 이후에는 통화 대기 시간이 짧습니다.
📍 지역별 건설근로자공제회 지사 전화번호
퇴직공제금과 관련해 서류 제출, 방문 상담, 신분증 확인 등을 원할 경우
가까운 지역 지사를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.
지역 | 지사명 | 전화번호 | 주소 |
---|---|---|---|
서울 | 서울북부지사 | 02-2260-5300 | 서울시 종로구 종로 19, 르메이에르종로타운 |
경기 | 경기남부지사 | 031-231-6200 | 수원시 팔달구 인계로 111 |
인천 | 인천지사 | 032-423-6200 | 인천시 남동구 예술로 206 |
부산 | 부산지사 | 051-753-2200 | 부산시 해운대구 센텀동로 41 |
대구 | 대구지사 | 053-623-5300 | 대구광역시 중구 달구벌대로 217 |
광주 | 광주지사 | 062-222-7200 | 광주광역시 서구 내방로 33 |
대전 | 대전지사 | 042-472-6200 | 대전광역시 서구 둔산중로 54 |
강원 | 강원지사 | 033-253-1100 | 춘천시 중앙로 76 |
전북 | 전북지사 | 063-284-6200 | 전주시 덕진구 백제대로 720 |
경남 | 경남지사 | 055-289-6200 | 창원시 의창구 중앙대로 263 |
📌 모든 지사에서 퇴직공제금 신청서 접수, 본인 확인, 적립내역 조회를 할 수 있습니다.
💬 전화 대신 간편하게! 모바일 앱으로 문의하기
요즘은 굳이 전화하지 않아도, **모바일 앱 ‘건설근로자 하나로서비스’**에서 대부분의 업무가 가능합니다.
📱 하나로서비스 주요 기능
기능 | 설명 |
---|---|
내 퇴직공제금 조회 | 본인 명의로 적립된 금액, 현장별 적립 내역 조회 |
지급 신청 | 퇴직 시 모바일로 신청 가능 |
서류 제출 | 신분증, 통장사본 등 사진 업로드 |
상담 연결 | 앱 내 1:1 문의 또는 전화 연결 버튼 제공 |
👉 다운로드 경로
🧾 전화 문의 전, 꼭 준비해야 할 서류 체크리스트
전화 연결 전 아래 서류를 미리 준비하면 상담이 훨씬 빠릅니다.
체크항목 | 내용 |
---|---|
✅ 주민등록번호 | 본인 확인 필수 |
✅ 근무 현장명 | 적립 여부 확인용 |
✅ 근무 기간 | 공제 기간 확인 필요 |
✅ 신분증 | 지급 신청 시 필요 |
✅ 통장사본 | 퇴직공제금 수령 계좌 확인 |
📞 준비 없이 전화하면, 상담원이 다시 걸어달라고 안내하는 경우가 있습니다.
미리 서류를 준비해두면 한 번에 처리 가능!
🧭 대표 전화 연결이 어려울 때 대체 방법 3가지
-
카카오톡 채널 “건설근로자공제회” 검색
-
‘채팅하기’ 메뉴에서 간단한 문의 가능
-
업무시간 내에 실시간 상담 지원
-
-
홈페이지 고객문의 게시판
-
24시간 작성 가능, 답변은 보통 1~2영업일 내 도착
-
지사 방문
-
직접 신분증과 서류를 지참해 방문 접수 가능
-
현장 근로자라면 위임장 없이 본인 신청 가능
-
🔎 퇴직공제금 지급 여부 빠르게 확인하는 방법
건설근로자공제회에서는 3가지 채널을 통해 퇴직공제금 지급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확인 방법 | 이용 채널 | 소요시간 |
---|---|---|
전화 확인 | 1666-1122 | 즉시 응답 (평일만) |
홈페이지 조회 | cwma.or.kr → ‘퇴직공제금 조회’ | 3분 이내 |
모바일 앱 | 하나로서비스 → ‘퇴직공제금 내역’ | 실시간 조회 가능 |
✅ TIP: 이미 신청한 경우 ‘처리상태’ 항목에서
지급예정
,지급완료
,보류
등으로 표시됩니다.
📌 전화상담 시 자주 하는 질문 TOP 3
1️⃣ “퇴직공제금은 언제 입금되나요?”
→ 지급 신청 후 영업일 기준 3~5일 내 입금됩니다.
(단, 서류 미비 시 보류 가능)
2️⃣ “퇴직공제금 신청을 전화로 할 수 있나요?”
→ 불가능합니다.
신청은 반드시 모바일 앱 또는 홈페이지에서 직접 접수해야 합니다.
3️⃣ “대리 신청이 가능한가요?”
→ 원칙적으로 불가.
본인 사망 등의 특별한 사유가 있을 경우 가족이 유족공제금으로 청구할 수 있습니다.
📋 퇴직공제금 전화 상담 이용 전 요약 정리
구분 | 주요 정보 |
---|---|
대표번호 | ☎️ 1666-1122 |
운영시간 | 평일 09:00~18:00 (점심 12:00~13:00 제외) |
주요업무 | 퇴직공제금 조회, 신청 안내, 지급 확인 |
대체수단 | 앱 ‘하나로서비스’, 카카오톡 채널 |
방문상담 | 전국 지사 가능 (사전 예약 불필요) |
💰 건설근로자 퇴직공제금 신청 방법 & 유의사항 완전정리
건설현장에서 일한 만큼 쌓인 퇴직공제금은 자동으로 적립되지만,
신청하지 않으면 절대 자동으로 지급되지 않습니다.
따라서 본인이 근로를 마쳤다면 꼭 직접 신청해야 하며,
신청 시기와 방법에 따라 지급 소요 기간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.
🧾 퇴직공제금 신청 절차 (홈페이지 기준)
단계 | 내용 | 비고 |
---|---|---|
① 로그인 | cwma.or.kr 접속 → 공동인증서 로그인 | PC 또는 모바일 가능 |
② 적립내역 조회 | 마이페이지 → 퇴직공제금 내역 확인 | 누락 여부 점검 |
③ 지급 신청 클릭 | ‘퇴직공제금 지급신청’ 선택 | 자동으로 신청서 생성 |
④ 서류 업로드 | 신분증, 통장사본 첨부 | JPG, PDF 가능 |
⑤ 확인 및 제출 | 입력내용 확인 후 제출 | 완료 시 문자 발송 |
✅ 주의:
이름, 주민등록번호, 통장명의가 일치하지 않으면 ‘서류 미비’로 처리됩니다.
은행 계좌는 본인 명의여야 합니다.
📱 모바일 앱(하나로서비스)로 신청하는 방법
모바일에서도 PC와 동일하게 신청이 가능합니다.
1️⃣ 앱 실행 후 로그인
2️⃣ 메뉴 → “퇴직공제금 지급 신청” 클릭
3️⃣ 자동 불러온 근로내역 확인
4️⃣ 신분증 및 통장사본 업로드
5️⃣ 신청 완료 → 처리 진행 문자 수신
💡 앱에서는 촬영한 사진을 바로 업로드할 수 있어 서류 제출이 훨씬 편리합니다.
(파일 확장자 JPG, PNG, PDF 지원)
⏱️ 퇴직공제금 지급까지 걸리는 기간
구분 | 소요 기간 | 비고 |
---|---|---|
일반 신청 | 영업일 기준 3~5일 | 대부분의 경우 |
서류 보완 필요 | 7~10일 이상 | 주민번호 불일치, 통장오류 등 |
유족공제금 신청 | 2~3주 이상 | 가족관계증명서, 사망진단서 등 확인 절차 필요 |
📌 신청이 정상 접수되면 ‘접수 완료’ 문자가 발송되며,
이후에는 “처리중 → 지급예정 → 지급완료” 순으로 상태가 바뀝니다.
🧠 퇴직공제금 신청 시 유의사항 TOP 5
항목 | 주의할 점 |
---|---|
1️⃣ 중복 신청 금지 | 동일 근무 내역으로 중복 신청 불가 |
2️⃣ 계좌 오류 주의 | 본인 명의 계좌만 인정 |
3️⃣ 서류 유효성 | 오래된 통장사본, 주민등록증 사본은 반려될 수 있음 |
4️⃣ 명의변경 불가 | 신청 후 명의 변경 요청 불가 (처리 전 취소 후 재신청 필요) |
5️⃣ 개인정보 갱신 | 이사 후 주소 변경, 전화번호 오류 시 안내 문자 수신 실패 |
🔍 퇴직공제금 미수령자 조회 방법
건설근로자공제회에서는 매년 **‘미수령 공제금 찾기 캠페인’**을 진행합니다.
자신이 이미 퇴직했는데도 공제금을 수령하지 않은 경우, 아래 방법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방법 ① 홈페이지에서 조회
-
주민등록번호 입력
-
본인 인증 후 미수령 내역 확인
방법 ② 전화 문의
-
대표번호: 1666-1122 → “미수령금 확인” 메뉴 선택
-
상담원이 근무 기간 및 사업장명으로 검색해줍니다.
방법 ③ 카카오톡 채널 조회
-
“건설근로자공제회” 추가 → ‘미수령금 조회’ 버튼 클릭
💬 2025년 현재, 미수령 공제금 규모는 약 700억 원 이상으로 추정됩니다.
본인 이름으로 숨은 공제금이 있는지 꼭 확인하세요!
👪 유족공제금(가족 대리 청구) 안내
근로자가 사망한 경우, 가족이 유족공제금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.
구분 | 필요 서류 | 비고 |
---|---|---|
사망자 관련 | 사망진단서, 기본증명서(사망표시 포함) | 원본 또는 스캔본 |
가족 관련 | 가족관계증명서, 신분증 사본 | 대리인 본인 확인용 |
계좌 관련 | 유족 명의 통장사본 | 지급용 |
기타 | 위임장 (필요 시) | 친족 간 대리 시 생략 가능 |
⚠️ 신청은 온라인 불가하며,
반드시 지사 방문 또는 우편 접수로 진행해야 합니다.
접수 후 평균 2~3주 내 지급됩니다.
📅 퇴직공제금 적립 내역이 보이지 않을 때
“확실히 일했는데 적립이 안 되어 있어요.”
이런 경우는 시공사나 원도급사가 공제 신고를 누락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.
원인별 대처법
원인 | 해결 방법 |
---|---|
공제 미신고 | 사업주에게 신고 요청 → 미이행 시 공제회 신고 |
잘못된 주민번호 입력 | 고객센터 1666-1122 문의 후 수정 요청 |
다른 이름으로 신고됨 | 현장 근로명부 확인 후 정정 신청 |
외국인 등록번호 오류 | 외국인등록증 사본 제출 후 수기 정정 가능 |
📢 공제회는 건설사 신고 내역을 그대로 반영하기 때문에,
누락된 경우 반드시 근로자가 직접 정정 요청해야 합니다.
💡 실제 상담 후기 요약
사례 | 내용 |
---|---|
✅ A씨 (서울) | “퇴직 후 2년 지나서 신청했는데, 4일 만에 입금됐어요.” |
✅ B씨 (부산) | “현장별로 근무기간이 달랐는데, 상담원이 친절하게 알려줬습니다.” |
⚠️ C씨 (대구) | “이름 한 글자 틀려서 지급 지연됐어요. 신청 전 꼭 확인하세요.” |
✅ D씨 (전북) | “앱으로 신청하니 은행 안 가도 돼서 편했습니다.” |
📚 자주 묻는 질문 (FAQ)
Q1. 퇴직공제금 신청 기한이 있나요?
→ 없습니다. 단, 오래된 내역은 보류 처리되거나 서류 추가 요청이 있을 수 있습니다.
(가능한 빨리 신청하는 것이 좋습니다.)
Q2. 여러 현장에서 일했는데 한 번에 신청 가능한가요?
→ 예. 하나의 신청서로 모든 적립내역을 통합 신청할 수 있습니다.
Q3. 외국인 근로자도 받을 수 있나요?
→ 가능합니다.
외국인등록번호 또는 여권번호로 본인 인증 후 신청 가능합니다.
Q4. 퇴직공제금은 세금이 부과되나요?
→ 비과세입니다.
퇴직소득세가 부과되지 않으며, 전액 본인 계좌로 입금됩니다.
Q5. 건설회사에서 신고를 안 해줬어요. 어떻게 하나요?
→ [공제회 홈페이지 → 민원신고 → 공제 미신고 신고서]를 제출하면 됩니다.
공제회가 직접 사업주에게 확인 요청을 진행합니다.
📘 정리: 전화 한 통으로 끝내는 퇴직공제금 확인 절차
단계 | 수행 방법 | 소요시간 |
---|---|---|
① 대표번호 연결 | 1666-1122 | 3분 내 상담 연결 |
② 본인 확인 | 주민번호, 이름, 연락처 제공 | 즉시 |
③ 적립금 조회 | 상담원이 근무지별 금액 안내 | 실시간 |
④ 신청 안내 | 온라인 또는 앱 링크 문자 발송 | 즉시 |
⑤ 지급 완료 | 3~5일 내 입금 | 완료 문자 수신 |
📞 통화 후 문자로 ‘신청 링크’가 오면 반드시 24시간 내 접속해야 유효합니다.
🧩 마무리: 전화보다 빠른 길도 있다
건설근로자공제금 관련 문의는 여전히 전화(1666-1122)가 가장 확실한 수단이지만,
요즘은 모바일 하나로서비스 앱을 통해 대부분의 업무를
비대면으로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.
🔹 “적립금이 있는지 궁금하다면 → 앱 로그인 후 ‘적립내역 조회’”
🔹 “신청하고 싶다면 → ‘퇴직공제금 신청’ 메뉴”
🔹 “서류 보완 요청받았다면 → 카메라로 바로 업로드”
전화 연결이 어렵거나 대기 시간이 길다면
👉 앱 또는 홈페이지를 먼저 이용해보세요.
✅ 핵심 요약
항목 | 내용 |
---|---|
대표번호 | 1666-1122 |
운영시간 | 평일 09:00~18:00 (점심시간 제외) |
온라인 | www.cwma.or.kr |
모바일 앱 | 하나로서비스 |
필요서류 | 신분증, 통장사본 |
지급소요 | 3~5일 |
유족공제금 | 지사 방문 접수만 가능 |
미수령금 확인 | 홈페이지, 카카오톡, 전화 모두 가능 |
✍️ 마무리 한 줄 정리
건설근로자 퇴직공제금은
“적립은 자동, 수령은 신청”이라는 점을 꼭 기억하세요.
1666-1122로 전화 한 통이면 내 적립금 확인부터 신청 방법 안내까지 한 번에 해결됩니다.
▼ 함께 읽어볼 글 ▼